[누나만 둘 있는 3 대 독자 (27 세 ) 로 , 집에서는 1 년에 차례와 제사를 4 번씩 지냈지만 한 번도 음식을 만들어 본 적이 없었다 . 어릴 땐 숙모와 형수님만 부엌을 드나들며 음식을 만들고 삼촌들은 거실에 앉아 이야기를 나눴다 . ] 3대독지란 본인,아버지,할아버지까지 외아들이란 의미다. 즉 증조할아버지는 형제가 있다는 뜻, 결국 숙모와 형수를 고모와 외숙모라는 괴랄한 조합으로 변경 할게 아니라 그냥 고조할아바지 제사에 재종숙모와 삼종형수가 참석 했다고 하면 된다. 이글을 쓰는 본인도 어렸을 적에 고조할아버지 제사에 재종조부와 재종숙부가 참석한적이 있다. 재종숙부정도면 7촌아저씨 인데 너무 멀지 않느냐고? 3대독자라면 제일가까운 친척이 8촌형제다 . [요리하는 내내 할머니는 ‘ 뭔가 못마땅한 눈치로 ’ 부엌을 서성이셨다 .] , [ 어머니는 “ 조상님이 손주가 차린 차례상 받는 할아버지 할머니는 없을 거다 ” 고 칭찬] 이것도 문제 없는 문장이다. 왜냐하면 3대 독자라면 차례상에 최소 증조할아버지까지는 올리게 되어있다. 어머니가 말한 조상님이란 증조할아버지 증조 할머니까지 포함해서 말한 거라면 문제가없는 문장이다. 결국 작가는 3대독자의 친척관계와 차례상에 6,7명분의 떡국을 올리는 이유를 모르는 것으로 보인다. 문단을...
댓글
댓글 쓰기